■ 아티클 선정 이유
현재 많은 기업들은 직원을 성과 창출의 자원으로 보는 단편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인간(직원) 중심의 조직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6가지 직원 유형을 소개합니다. 이를 살펴봄으로써 직원 만족과 생산성 제고를 함께 이루기 위해 조직 차원에서 어떤 관리 방식을 취해야 하는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아티클 요약
일터에서 몰입을 유지하는 직원이 10명 중 2명 정도라는 갤럽의 직원몰입 조사를 인용하며, 만족도와 직원몰입 그리고 업무 생산성의 상관관계에 주목합니다. 글로벌 경영 컨설팅 회사 매킨지에 따르면, 만족도와 생산성에 따라 직원들은 6가지 유형(퇴사자, 방해자, 최소한의 일만 하는 자, N잡러, 믿음직스럽고 열심히 하는 자, 번성하는 별)으로 분류됩니다. 직원몰입 관리는 획일적이지 않고, 각 유형에 맞춤화된 접근 방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새롭게 배운 지식/사례
매킨지에서 소개하는 각 유형과 이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 전략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퇴사자 The quitters
▷ 특징
- 퇴사를 고려 중이거나 이미 결정한 사람들에 해당
- 조직의 약 10% 차지
- 낮은 조직 만족도로 인해 조직과 업무에 대한 헌신이 감소하며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 단순 불만 많은 저성과자로 단정 어려움
- 조직 만족도와 몰입도는 낮지만 높은 성과를 내는 경우도 있으며, 더 좋은 조건을 좇아 조직 이탈할 수 있음
▷ 관리 방법
- 조직을 떠나려는 배경이 낮은 몰입과 저성과 때문인지, 아니면 낮은 몰입도를 보이지만 고성과를 내어 더 나은 조건을 바라는지에 따라 구분해 대응 필요
→ 후자가 많다면, 현 보상 제도의 개선이 필요할 수 있음
- 퇴사자 유형 중 근속하기 바라는 직원이 있다면, 이들의 업무 몰입도와 헌신도를 향상 또는 유지하기 위한 선제적 관리 필요
→ 좋은 보상과 승진 제시 가능 여부를 살펴보고, 관리자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음을 느낄 수 있는 관계 형성 필요
2. 방해자 The disruptors
▷ 특징
- 적극적인 비몰입으로 다른 직원들에게 피해를 주며, 최소한의 일도 하지 않는 사람들에 해당
- 조직의 약 11% 차지
- 조직 만족도와 몰입도가 퇴사자 다음으로 낮지만, 조직 내 전파하는 부정적 영향은 더 큼
- 조직과 업무에 대한 불만을 공개적으로 표출하고 자신의 업무 태만으로 인해 업무 전가하여 주변 동료들이 느끼는 불공정성, 피로감, 불만은 높이고 사기와 동기를 저하시킴
▷ 관리 방법
- 방해자 유형인 사람들의 성과와 몰입 기록을 우선 확인하여 어느 시점부터 방해자의 모습을 나타내기 시작했는지 파악
- 일에 대한 목적의식과 의미를 부여하고, 경력 개발 및 승진 기회를 제공하거나 현 보상 수준이 시장 평균에 밑도는지 점검 필요
- 직무 전환이나 팀 교체를 고려할 수 있으며, 코치나 멘토를 통한 성과 개선 지원
3. 최소한의 일만 하는 자 The mildly disengaged
▷ 특징
- 최소한의 일만 하는 사람들에 해당
- 조직의 약 32% 차지
- 직무 수행을 최소한으로 하여 능동적이지 않고 평균 이하의 업무 헌신과 성과 나타남
▷ 관리 방법
- 방해자에게 적용한 전략+자율성을 부여하여 유연하게 업무를 처리함으로써 몰입도 증가 유도
4. N잡러 The double dippers
▷ 특징
- 두 개 이상의 직업을 동시에 갖고 있는 풀타임 근로자에 해당 (6가지 유형 모두에서 확인 가능)
- 조직의 약 5% 차지
- 원격 근무 환경에서 두드러짐
- 업무에 몰입하고 성과에 기여하는 사람과 그 반대인 사람의 비율이 거의 동일한 편
- 복수의 직업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생산성이 떨어질 것이라 단정 짓기 어려움
▷ 관리 방법
- 특히 만족도가 낮은 N잡러 관리에 우선 집중 필요
- 보통 불충분한 보상과 경력 개발 및 승진 기회 부족이 낮은 만족도의 원인이므로, 보상 수준을 개선하거나 더 나은 복지 혜택을 제공하여 N잡러 비율을 줄일 수 있음
5. 믿음직스럽고 열심히 하는 자 the reliable and committed
▷ 특징
- 역할과 직무에서 요구된 수준 이상을 추구하는 사람들에 해당
- 조직의 약 38% 차지
- 조직 만족도와 헌신도가 높음
- 동료의 업무를 돕고 추가 업무에 자원하기도 함
▷ 관리 방법
- 의미 있는 업무, 유연 근무, 지원적인 동료들이 있는 업무 환경에 의해 동기부여됨
- 추가적인 보상이 동기를 높이지 않지만, 불공정한 보상은 동기를 떨어뜨릴 수 있음
6. 번성하는 별 The thriving stars
▷ 특징
-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최고 인재에 해당
- 조직의 약 4% 차지
- 스스로 일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여 높은 몰입과 헌신을 보임
- 뛰어난 성과 달성과 더불어 주변 동료들의 높은 성과 달성을 도움
▷ 관리 방법
- 좋은 경력 개발 기회 제공, 기여 인정, 필요 욕구 세심히 파악
- 번아웃 위험이 높음으로 업무 범위를 조절하고, 방해자들의 부정적인 영향력으로부터 보호 필요
- 번성하는 별 유형과 고성과자에게는 가능한 한 많은 자율성과 선택권 부여 중요
■ 인상 깊었던 부분 + 이유
직원몰입 향상에 근무 환경의 자율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연구가 인상적입니다. 자사 직원들의 근무 시간을 연구한 결과에 따르며, 개인의 상황에 맞춰 근무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 가능한 업무 환경은 생산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며, 일과 삶의 균형을 충족해 직원몰입을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
■ 동료 수강생에게 공유하고 싶은 부분 + 이유
글에서 다루는 직원 유형과 그에 따른 관리 전략은 다양한 환경의 조직에서 유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 직원몰입이 조직의 생산성과 인력 대체에 소요되는 비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또한 유익합니다. 이번 글은 향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정보로써 동료 수강생들과 공유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티클 출처 : https://hrbulletin.net/engagement/생산성에-따른-6가지-직원-유형/
생산성에 따른 6가지 직원 유형
갤럽이 전세계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원몰입 조사에 의하면, 일터에서 몰입을 유지하는 직원들은 10명 중 2명 밖에 되지 않는다. 이에 더 나아가 ‘적극적으로 몰입하지 않는’ 직원 또한
hrbulletin.net
*이미지 출처 : freepik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개적 불만 표출 '요란한 퇴사 (Loud Quitting)' (0) | 2024.02.20 |
---|---|
면접관의 책임과 역할_호감 & 성과, 두 마리 토끼를 잡자 (0) | 2024.02.19 |
직장생활 만족을 향한 ‘조용한 열정 (Quiet Thriving)’ (0) | 2024.02.11 |
경력직 입사자의 연착륙을 위한 온보딩 필요성 (0) | 2024.02.05 |
컬처 핏 (Culture Fit) : 우리가 잘 맞을까?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