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직문화 구축 방법 ]
조직문화 형성 과정
*Harrison, R., Cameron, K. S. & Quinn, R. E., 김수원 논문 참조 및 재구성
조직문화 형성 과정은 요인과 과정 중심으로 하여 살펴볼 수 있음
1. 개인과 집단의 상호작용에 의한 문화 형성
- 조직 속의 개인은 소속감, 친교, 영향력 등 기본적 욕구를 지님
- 집단에는 성격과 가치관이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게 되고, 그들이 가졌던 가치관과 행동 방식을 포기하는 과정에서 공동의 방식이 생겨남
- 각자의 것을 포기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집단 규범의 조정과 중재의 과정을 통해 문화가 형성됨
2. 리더에 의한 조직문화 형성
- 창립자나 최고 경영자 등 특정 개인의 영향력에 따라 좌우되는 경우가 있음 (리더의 스타일이 조직문화의 결정 요소)
- 리더는 자기가 택하고자 하는 인물이나 제도를 통하여 조직문화를 형성 또는 변경할 수 있음
3.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조직 환경을 통해 조직문화 유형 결정
- 구성원은 조직 환경으로부터 입수하는 자료와 정보로부터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조직의 현상에 대해 주관적으로 가치 판단하여 이해
- 조직문화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조직 환경이 제일 중요
3R
*⌜조직문화로 승부하라(이치민, 2023)⌟ 참조 및 재구성
3R :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세 가지 접근 방법
- 공유하는 가치를 담은 Ritual (의식)
- 공통의 프로세스에 대한 Rule (규칙)
- 조직을 바꾸는 Routine (루틴)
방법 1. Ritual : 의식
- 의식이란, 보이지 않는 추상적 가치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형식
- 핵심 포인트 : 조직문화 관점에서는 리더 혼자만의 주관적인 의미로는 의식이 되지 못함
- 추상적 가치를 구체적인 형식을 통해 조직 내 공유해야 함
- 리추얼의 효과 :
> 의미를 부여하여 가치 상승 가능
> 구성원의 공감과 참여 유도 가능
> 재미 지속 가능
Ex. "졸업식" : 구성원의 퇴사를 회사를 졸업하고 새로운 출발을 한다는 의미 부여하여 응원
Ex. "월간 정산" : 부서별로 하고 싶은 활동 건의 -> 예산 내에서 승인 및 시행; 팀원들이 못다 한 이야기나 한 달 동안의 일을 허심탄회하게 또는 주도적으로 말하며 즐겁게 정리하는 시간 마련
리추얼(Ritual)을 만들려면?
- 긍정적 경험은 장기 기억에 효과적
> 감정을 동반한 경험은 다른 경험과 연결되어 기억을 더욱 잘 회상하게 함
> 긍정적 경험은 직원들의 ‘직무 몰입 수준’에 영향을 미침
> Meryer & Allen의 구성원 몰입 개념 세 가지
- 정서적 몰입 : 직원이 자신과 조직을 동일시
- 규범적 몰입 : 자신이 속한 조직의 목표와 가치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의무라고 판단
- 지속적 몰입 : 그동안의 헌신과 노력을 고려, 조직을 떠나는 것이 손해라고 판단
방법 2. Rule : 규칙
- 공통 프로세스에 대한 명확한 규칙 -> 규칙 정립을 통해 가장 빠르고 확실하게 조직문화를 구축할 수 있음 (Richard Hackman)
> 의사소통 프로세스 : 정기/비정기 회의, 정보 공유와 의견 교환
> 의사결정 프로세스 : 직무 권한 범위, 집단 의사결정
> 문제해결 프로세스 : 문제 정의, 원인 분석, 해결안 도출
- 목표 달성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반복적인 프로세스
- 지속 가능한 규칙을 만들려면, 규칙을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최적화시켜야 함
Ex. 구체적인 사례로 전파, 다 함께 정기적 리뷰, 문제 행동 발견 시 조치, 모두가 아닌 다수 충족
*이미지 출처 : 제로베이스 조직문화 '조직문화 구축 방법' 강의 중
규칙(Rule)을 만들려면?
가장 기본적인 것부터 명확한 규칙 정립 -> 행동 가이드화 -> 자연스러운 습관으로 정착시켜야 함
Ex. 올바른 호칭과 경어 사용, 다양성과 프라이버시(개인의 가치) 존중, 집중 근무 시간에 대한 가이드, 업무 요청과 회의 소집 기준, 평가・보상의 기준
방법 3. Routine : 루틴
'규칙적으로 하는 일의 통상적인 순서와 방법' (NAVER 사전)
- 꾸준한 반복을 통해 형성됨
- 루틴으로 어떻게 창의성을 발휘한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많음
- 뇌의 신경회로망을 새롭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평균 66일 소요 (University of London, 2009)
- 새로운 습관을 형성한 후에 유지 및 강화하기 위한 추가 시간 고려 = 12주의 기간이면 ‘새로운 문화’를 정립할 수 있음
- 조직문화 담당자가 할 수 있는 기획 활동 : 공식적인 교육 -> 오감을 통한 체험 -> 문서로 구체화 -> 정기 행사 -> 이러한 루틴을 통해 새로운 조직문화가 기획 및 실현됨
루틴(Routine)을 만들려면?
루틴은 규칙적으로 하는 활동이라는 생각 전제 필요
"루틴 미팅"
1. 정기적으로 운영하기
> 일간 미팅 : 매일 동일한 시간에 15분 이내 짧게 진행
> 주간/월간/분기 미팅 : 각 시기별로 계획과 실행의 결과 확인
2. 구성원에게 도움 되기
> 의미 없는 의례적인 시간이 아니라 구성원이 말하고 참석자들이 도움을 제공하는 방식
3. 진척도 가시화하기
> 해야 할 일, 진행 중, 완료한 일 등의 가시화를 통해 업무 진행 상황 공유해아 함
"라운드 테이블"
- 다양한 사람들이 정해진 주제에 대해 수평적으로 토론하는 방식
- 참여자 모두 동등한 발언 권리 가짐
- 중요한 목표 달성을 위해 개최
-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해 논의
"워크숍"
- 라운드 테이블을 워크숍으로 진행하기도 함
- 세 가지 구체화가 핵심
> Why, 왜 : 워크숍이 필요한 이유인 기본적인 취지 설명 -> 근본적인 추진 배경 도출
> What, 무엇을 : 워크숍 진행 내용, 워크숍 목표에 대한 토론
> How, 어떻게 : 프로그램 구성, 일정 및 장소 등 워크숍 운영 방식 -> 워크숍 준비를 위한 노력은 워크숍 성공과 비례
- 운영 단계 :
> 사전 : 자료 미리 제공, 모두의 참여 유도, 넓은 공간, 외부 장소 섭외
> 진행 중 : 오프닝/클로징, 준비 인원도 적극 참여, 당일 결과물 공유
> 사후 : 워크숍 사용 자료 및 산출물 정리 및 전체 공유, 워크숍 운영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HR 직무 탐구_'DDO'란? (0) | 2024.02.28 |
---|---|
HR 직무 탐구_조직문화 기능/유형/구축 (0) | 2024.02.28 |
HR 직무 탐구_HRDer 유형 & 핵심 역량 (0) | 2024.02.19 |
HR 직무 탐구_교육 효과성 측정 모형 'Kirkpatrick' (0) | 2024.02.18 |
HR 직무 탐구_교수체제 설계 모형 'ADDIE' (0) | 2024.02.09 |